본문 바로가기

금리인상2

미국 7월 FOMC 금리인상 주요내용 및 향후 전망 1. 7월 미국 FOMC 성명 전문 최근 지출과 생산에 대한 지표가 완화됐다. 그럼에도 고용 증가는 최근 몇 달간 견조 했고, 실업률은 낮은 상태를 유지했다. 팬데믹과 관련된 공급과 수요 불균형, 높아진 음식료와 에너지 가격, 더 광범위한 가격 압박 등을 반영해 물가 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쟁은 막대한 인적, 경제적 고난을 야기하고 있다. 전쟁과 그와 관련된 이벤트는 인플레이션 위험에 매우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위원회는 완전 고용과 장기적은 2% 물가를 달성하는 것을 추구한다. 이러한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위원회는 연방기금 금리 목표치를 2.25%~2.5% 범위로 인상하기로 했고, 목표 범위의 지속적인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위원회는 5월에 발간한 .. 2022. 7. 28.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2022.7.13) 질의응답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1.75%에서 2.25%(50bp)로 인상 결정(위원 전원 일치) ■ 금융통화위원회 요약 세계경제는 미국 유럽 지역 등 주요국 물가 상승률이 8% 이상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성장세가 약화. 국제 금융시장에서는 주요국 정책금리 인상 가속과 그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로 위험회피 심리가 강화. 미 달러화 강세가 지속되고 주가는 상당폭 하락하였으며, 국채금리는 큰 폭으로 등락 지속. 국내 경제는 회복세를 이어감. 수출 증가세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민간 소비가 회복세를 지속하였고 설비투자는 부진이 완화된 모습. 고용 상황은 큰 폭의 취업자 수 증가가 이어지는 등 개선세를 보임. 앞으로 소비 회복세가 이어지겠지만 주요국 성장세 약화의 영향.. 2022. 7. 13.